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
이 땅에 있었던 한 사람의 각오와 책임 4천 년의 우리 역사가 어둠에 묻혀 있는 것은 우리 민족이 불미한 탓이었다. 그중에도 나와 같이 나이 많은 사람들의 잘못이 많았다. 그것은 내가 책임지겠다. 여러분은 젊기 때문에 그 책임이 적다. 4천 년의 역사가 이제 우리들의 손으로 다시 꽃피어야 하는 것이다. 그 좋은 기회가 우리 앞에 있다. 그리고 세계 각국이 우리에게 그 기회를 주었다. 이 중대한 순간에 있어서 나만 살자고 애쓰다가 민족 전체를 못살게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1945. 10. 17. 우리 역사는 양진영 모두 거짓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들이 나라를 이미 분열시켰다. 이 거짓과 싸우기 위해서는 지식과 용기 그리고 뱀이 필요하다.
조선시대 법과 법사상 1.禮에 대한 관점 보통 禮를 완전히 법적인 기능으로 보거나, 법과는 관련이 없는 도덕의 관점에서 조선의 법을 탐구 했다. 그래서 고대 중국의 法은 형벌을 의미했고, 조선은 법과 거리가 먼 덕치(德治) 또는 예치(禮治)로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법이 조선사회에서 어떻게 인지되어왔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접근이 아니라, 피상적인 선입견에 가가깠웠다. 이 저서는 조선에서의 法의 의미를 먼저 정의해야지, 독일의 실정법 전통, 현대법 전통, 동양철학적 관점에서의 전통에서 벗어난 타당한 규정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 2. 포용적 법실증주의 vs 배제적 법실증주의 배제적 법실증주의자에게 법과 도덕은 사회적 관행으로 연관 될수가 없다. 이 이론은 법의 특성으로 권위를 들며, 법은 권위적인 존재이기 떄문에 도덕적인..
(쪽문)칸트의 bewust의 용례 그리고 양심에 대한 짤막한 고찰 아래는 칸트가 bewust를 사용하는 용례들 Ich darf nicht uber den Begriff, den ich mit dem Korper verbinde, hinausgehen, um die Ausdehnung, als mit demselben verknupft,zu finden, sondern jenen Begriff nur zergleichen di des Mannigfaltigen, welches ich jederzeit in ihm denke, nur mir bewust werden, um dieses Pradikat darin anzutreffen. Kritik der Reinen Vernunft B 11 Zugleich der Notwendigkeit des Urteils bewust ..
헤겔의 철학 (2) 소-변증법 헤겔은 소-변증법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소-변증법은 헤겔의 논리학에 대한 짧은 견해속에서 발견되는 그의 동적인 사상의 면모를 본인이 편의상 지칭하기위해 만들었다. 소-변증법은 (1)부정의 계기, (2) 부정속에서 발견되는 긍정, (3) 그리고 사변(spekulativ)의 계기가 있다. 그리고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헤겔이 사용하는 오성(verstand)와 이성(Vernunft)의 차이가 선행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언급된 내용을 이해했을 때 헤겔의 유명한 명제인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이고,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이다"를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1. 오성과 이성의 차이 이성과 오성은 쉽게 구별되지 않는다. 독일어 뜻을 살펴보면 의미는 명확해진다. verstand는 독일어 verstehe..
헤겔의 철학 (1) 전체적 그림 헤겔의 철학은 비매개적이면서 직접적인 인식을 출발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직접적인 인식이 서술을 통한 내재적 비판을 거쳐서 과거의 논리가 보완된다. 즉 추상적으로 시작한 인식은 구체성을 자연과 정신으로부터 획득하면서 과거의 자신을 보완하면서 나아가고, 그 최종목적지는 모든 구체적인 것의 기본이 되는 가장 추상적인 것이다. 에를들어은 자신과 분리된 외부의 대상에서 진리를 구하는 자연적 의식의 가장 단순하고 직접적인 인식 태도인 감성적 확신에서 시작하여 정신이 타자 및 세계와의 통일 속에서 총체적이고 투명한 자기 인식에 도달하게 되는 절대지에 이르는과정을 서술한다. 오늘은 이러한 두루뭉술한 헤겔의 사상을 헤겔의 문헌을 통해서 구체화를 하려한다. 1. 헤겔의 논리학과 응용논리학 프랑스 구조주의 학문이 자아,이..